▲ 오산 정상에서 마산리쪽 전경 ▲ 오산 정상옆에 있는 또 하나의 암봉에 오르자 멋진 소나무 분재 한그루가 서있고, ▲ 소나무 분재 암봉에서 올려다 본 오산 정상에 있는 산불감시탑. ▲ 바람개비 능선을 따라 묘치고개로, ▲ 능선상에 서있는 바람개비 철조망옆으로, ▲ 다시, 잡목제거가 되어 있지 않은 정맥길로 접어 들고, 그래도 지나온 가시덤불 능선보다 훨씬 양호하다. ▲ 철조망 울타리지대, 산죽지대도 지나고, ▲ 594.6봉도 넘고, ▲ 묘치고개를 향한 미끄러운 급 내리막. ▲ 묘치고개 직전 무명봉을 넘고, ▲ 삼거리 묘치고개 도착. ▲ 고개마루에 식당도 있고, ▲ 진입로를 찾지 못해 헤매다, 경치리삼거리 이정표가 있는 과수나무밭 울타리 옆길로 진입, ▲ ..
호남정맥 14구간 ◯ 일시 : 2019. 11. 20 (수) ◯ 종주 거리 ▷ 종주 구간(GPS거리) 18.5㎞ : 둔병재 -3.6- 어림고개 -2.4- 오산 -4.3- 묘치고개 -2.2- 주라치 -2.0- 천왕산 -2.1- 구봉산갈림길 -1.9- 서밧재 ▷ 접속 구간 : 없음 ◯ 소요 시간 : 8시간 10분 (휴식시간 포함) ◯ 날씨 : 맑음 ◯ 회차 : 22회차 ▲ 화순읍에서 택시로 둔병재. 휴양림으로 들어가지 않고 화순읍 표지판이 있는 고개마루에서 둔병재-서밧재 구간 산행을 시작한다. ▲ 편백 휴양림 철조망 옆길을 따르다, 길이 없어져 휴양림으로 넘어와 오름길 계속 ▲ 왠만큼 오르자 쉼터가 나타나고, ▲ 잘 가꾸어진 편백숲 ▲ 편백숲과 헤어지고, ▲ 뒤돌아 본 안양산 봉우리 ▲ 이른 아침 산죽밭에서..
▲ 억새밭 산불감시 초소에서 잠시 급내리막. ▲ 잠시 로프 길 ▲ 좌측으로 목장과 저수지. 목장 골짜기를 한바퀴 빙 돌듯이 진행하고, ▲ 406봉에서 독수리들이 떼지어 날아 오르고, 이 곳에 먹이감이 있을까? ▲ 전망바위에서 주변 전경 ▲ 안부로 내려섰다가 이어서 417.7봉 ▲ 또 담양군 창평면쪽 주변 전경을 잡아 보고, ▲ 무명봉 어깨로도 우회 ▲ 능선 우측 아래로 창평면 유천리가 내려다 보이고, ▲ 지도상 활공장으로 표시가 되어 있는 424봉. 실제 활공장은 좀 더 가야 한다. ▲ 이어서 활공장. ▲ 전망이 탁트이는 활공장 주변 전경. ▲ 생태이동통로가 있는 노가리재이므로 도로로 내려서지 않아야 하는데, ▲ 옛 산행경로를 따르다 보니 2차선 도로까지 ..
호남정맥 12구간 ◯ 일시 : 2019. 11. 19 (화) ◯ 종주 거리 ▷ 종주 구간(GPS거리) 22.2㎞ : 방아재 -2.0- 만덕산 -4.1- 수양산 -1.4- 선돌고개 -1.3- 국수봉 -4.0- 노가리재 -2.2- 최고봉 -3.8- 새목이재 -1.4- 어산이재 -2.0- 유둔재 ▷ 접속 구간 1.0㎞ : 유둔재 -1.0- 가암삼거리 ◯ 소요 시간 : 8시간 (휴식시간 포함) ◯ 날씨 : 맑음, 초겨울 강풍 ◯ 회차 : 21회차 ▲ 정맥종주를 처음 시작할때 폭염때문에 이 곳에서 중간탈출. 보충산행겸 방아재에서 유둔재까지 구간 산행을 시작한다. ▲ 잠시 잡목숲을 헤치고 400봉을 오르고, ▲ 지금 올라야 할 만덕산 능선을 살펴보고, ▲ 급내리막후 임도, ▲ 다시 잡목숲. ▲ 만덕산 전위봉을 넘고..
호남정맥 17구간 보충 ◯ 일시 : 2019. 11. 14 (목) ◯ 종주 거리 ▷ 종주 구간(GPS거리) 6.6㎞ : 곰치 -1.3- 봉미산 -2.3- 숫개봉 -3.0- 뗏재 ▷ 접속 구간 3.4㎞ : 뗏재 - 신석리 회수교 ◯ 소요 시간 : 2시간 50분 (휴식시간 포함) ◯ 날씨 : 맑음, 강풍 ◯ 회차 : 20회차 ▲ 이제는 영업을 하지 않는 곰치휴게소 주차장에 승용차를 주차하고, ▲ 고개를 넘어와 화순군, 장흥군 표지판 앞에서 16구간 보충 산행을 시작한다. 8년전 폭염때문에 뗏재에서 중간 탈출했으므로, 오늘은 뗏재까지만 가면 된다. ▲ 빙 돌듯이 오르는 봉미산 정상 능선이 높아만 보이고, ▲ 낙엽이 쌓인 미끄러운 급경사 능선을 치고 오르고, ▲ 봉미산 1단부 능선을 오르자 이름모를 콘크리트 표..
▲ 방장산 정상에서 방송통신용 건물 옥상으로 오르는 철계단이 있어, ▲ 철계단으로 오르니 옥상 자체가 전망대이다. ▲ 옥상전망대에서 빙둘러 주변 전경을 담는다. 오늘 산행은 곳곳이 전망대라 득량만 일대를 마음껏 구경하게 된다. ▲ 정상에서 콘크리트 포장도로를 따라 파청재로, ▲ 계속 콘크리트 임도 ▲ 임도삼거리 파청재를 지나고, ▲ 우측으로 벌목지와 축사, 농장이 나타나고, ▲ 뒤돌아 본 방장산 봉우리 ▲ 편백숲이 자주 나타나고, ▲ 무명봉을 하나 우회하듯이 넘고, ▲ 급하게 잠시 오르면 335.5봉 국사봉이다. ▲ 오도재를 향한 급 내리막 ▲ 벌목지를 통과하면서 2차선 도로로 내려서고, ▲ 오도재에서 대룡산 방향 진입로가 잠시 헷갈린다. 선답자 GPS 트..
호남정맥 22구간 ◯ 일시 : 2019. 11. 13 (수) ◯ 종주 거리 ▷ 종주 구간(GPS거리) 20.2㎞ : 모암재(천치고개) -2.3- 광대코재 -1.0- 무남이재 -1.9- 주월산 -1.2- 이드리재 -1.8- 방장산 -2.1- 파청재 -2.2- 오도재 -4.9- 대룡산 -2.8- 그럭재(기러기재) ▷ 접속 구간 1.3㎞ : 모암마을 버스정류장 - 모암재 ◯ 소요 시간 : 7시간 10분 (휴식시간 포함) ◯ 날씨 : 오후 흐림 ◯ 회차 : 19회차 ▲ 보성읍에서 첫차를 타고 모암마을에 하차한다. 군내버스를 이용하려다 보니 오늘은 모암재에서 그럭재로 역방향 산행을 하게 된다. ▲ 생태이동통로가 지나는 모암재에서 산행준비후 우측 콘크리트 길로 출발 ▲ 산길로 진입하여 잠시 오르자, ▲ 임도를 지나..
▲ 활성산 정상에서 되돌아 나와, ▲ 봇재로 향한 내리막 ▲ 뒤돌아 본 활성산 봉우리, 잡목숲때문인지 정맥능선으로 내려오지 않고, 약간 우회를 하면서 지그재그로 길이 나있다. ▲ 봇재를 향한 이정표도 잘되어 있다. ▲ 302봉을 넘자, ▲ 봇재가 내려다 보이고, ▲ 차밭 우측 가장자리로 빙돌아 내려오고, 정맥길은 좌측 가장자리 인것 같은데, ▲ 봇재 다원쪽으로 내려서고, ▲ 옛 건물이 없어지고 새로운 건물이 들어 선 듯, ▲ 봇재 교차로를 지나, ▲ 체육관처럼 지어진 커다란 건물앞을 지나고, ▲ 차밭 임도를 따라 오르고, ▲ 이정표가 가르키는 대로 다원 철조망 울타리를 빙돌며 무명봉을 지나고, ▲ 뒤돌아 본 봇재, 활성산, 일림산 능선 ▲ 전망대가 설치되어..
호남정맥 21구간 ○ 일시 : 2019. 11. 12 (화) ○ 종주 거리 ▷ 종주 구간(GPS거리) 22.5㎞ : 골치 -1.1- 골치산 -0.6- 일림산 -3.6- 아미봉 -1.8- 한치재 -3.1- 활성산 -2.3- 봇재 -5.5- 봉화산 -4.5- 그럭재 ▷ 접속 구간 2.1㎞ : 대산리입구 버스정류장 - 용추계곡 - 골치 ○ 소요 시간 : 7시간 20분 (휴식시간 포함) ○ 날씨 : 맑음 ○ 회차 : 18회차 ▲ 용추계곡 보성읍에서 첫 버스를 타고 대산리 마을입구에 내려 용추계곡으로 들어선다. 아직도 어둠이 깔려 있고, 무려 8년여만에 돌고돌아 다시 호남정맥으로 돌아 왔다. 정맥종주를 호남정맥에서 처음 시작하여 이곳 저곳 기웃거리다가, 다시 처음으로 돌아 왔으니, 이제는 초심으로 돌아가 마무리를..
호남정맥 31구간 ● 산행일시 : 2012. 4. 21 (토) ● 산행구간 ▷ 산행거리 6.0㎞ : 배암재-(2.5)-천왕산-(2.5)-망덕산-(1.0)-외망포구 ● 주의구간 - 남해고속도로 : 광양시 진월면 진정리 중산마을앞에 있는 남해고속도로 지하통로를 통과하기 위해 중산마을옆으로 내려와야 하는데, 중산마을 뒷산 길이 희미하고 애매하여 헷갈리기 쉽다. 무조건, 중산마을을 좌측으로 두고 숲길을 헤쳐 내려오면 마을앞 지하통로쪽으로 내려 올 수 있다. - 망덕산 초입 2번 도로 : 천왕산쪽에서 2번도로를 향해 절개지 급경사를 내려온후 도로변 철망울타리 구멍을 통과하고 2번 도로를 무단횡단해야 한다.(중앙분리대 있음, 고속주행 차량 주의) ● 산행시간 : 2시간 30분 (휴식 시간 포함) ● 산행날씨 : 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