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개운치. 뒤돌아 본 고당산쪽 능선 ▲ 망대봉을 향해서 대나무숲으로, ▲ 대나무숲을 지나면 어지러운 능선길이 기다리고 있다. ▲ 종주리본도 간간이 보일뿐 길이 보이지 않아, 대충 능선상으로 치고 오른다 ▲ 150여미터 고도를 높혀 490.4봉 헬기장 주능선으로 올라 서고, ▲ 거칠어진 주능선을 따라서 ▲ 우측으로 부전저수지, 개운치터널로 연결되는 도로가 내려다 보이고 ▲ 망대봉 정상부 통신탑. 좌측으로 우회, ▲ 철조망 아래 거친 급사면을 지나고 ▲ 뒷편 고당산쪽으로 잠시 조망이 트여, 걸어왔던 능선길을 따라가 본다. ▲ 통신소 정문쪽 도로 도착. 이 곳을 망대봉 정상이라 간주한다 ▲ 두들재 가는 길. 임도를 따라 내려오면 지난주에 걸었던 내장산 암봉군이 ..

호남정맥 5구간 ◯ 일시 : 2021. 4. 9 (금) ◯ 종주 거리 ▷ 종주 구간(GPS거리) 21.7㎞ : 구절재 –2.4- 미리재 –1.8- 소장봉 –0.3- 사적골재 –2.4- 국사봉갈림길 –1.0- 노적봉 –1.4- 굴재 –1.6- 고당산 –1.9- 개운치 –1.1- 망대봉 –1.2- 두들재 –1.7- 여시목 –2.0- 복룡재 –1.3- 추령봉 –1.6- 추령 ▷ 접속 구간 : 없음 ◯ 소요 시간 : 11시간 (휴식시간 포함) ◯ 날씨 : 맑음 ◯ 회차 : 33회차 (호남정맥 마지막 회차) ▲ 구절재 칠보면사무소 앞에 승용차를 주차하고 시내버스로, 벚꽃이 흩날리는 구절재에서 호남정맥 보충산행 마지막회를 시작한다. 호남정맥에서 가장 힘들다는 구간중 하나인 구절재-추령, 각오를 하고 출발하였지만 역..

▲ 까치봉 삼거리로 되돌아 나와 정맥길과 합류하고, ▲ 소죽엄재 가는 길. 부드러운 능선길로 고도를 뚝 떨어뜨리고 ▲ 소둥근재 가는 이정표도 만나고 ▲ 다시 거칠어진 능선길. 산죽밭도 나타나기 시작 ▲ 뒤돌아 본 신선봉 ▲ 지금 올라야 할 백암산쪽 능선 ▲ 능선상 노란 팻말. 능선길을 버리고 우측 급경사 길을 택해야 하는데, 그냥 쉽게 지나치기 쉬운 알바하기 딱 좋은 지점이다. ▲ 잠시 알바. 노란 팻말로 되돌아 와 급경사 내리막 길로 ▲ 산죽밭과 간간이 보이는 종주리본. 정맥꾼들만 다니는 길이라 낙엽이 수북히 쌓여 길이 보이지 않는다 ▲ 곤혹스러운 키높이 산죽밭을 통과하면서 온통 먼지를 뒤집어 쓰고, ▲ 안부로 떨어지니 소죽엄재이다 ▲ 다시 고도를 높히며 ..

호남정맥 6구간 ◯ 일시 : 2021. 04. 01 (목) ◯ 종주 거리 ▷ 종주 구간(GPS거리) 14.7㎞ : 추령 –1.5- 유군치 –1.0- 장군봉 –1.0- 연자봉 –0.4- 문필봉 –0.6- 신선봉 –1.4- 까치봉 –2.0- 소죽엄재 –0.7- 영산기맥분기점 –0.5- 순창새재 –2.0- 상왕봉 –1.5- 백학봉갈림길(헬기장) -2.1- 곡두재 ▷ 접속 구간 : 없음 ◯ 소요 시간 : 7시간 10분 (휴식시간 포함) ◯ 날씨 : 맑음 ◯ 회차 : 32회차 ▲ 오늘도 호남정맥 보충산행. 내장산 구간을 추령에서 시작한다 ▲ 잠시 오르면 우측으로 조망이 트이고 ▲ 아침해와 함께 건너편 추령봉 ▲ 440봉을 오르고 ▲ 내장사 계곡, 주변 암봉들이 병풍처럼 둘러서 있고 ▲ 높아만 보이는 장군봉을 향해..

▷ 일시 : 2021. 3. 25 (목) 5시간 소요 ▷ 산행거리 11㎞ : 천치재 –2.5- 치재산서봉 –1.4- 치재산 –2.4- 용추봉 –1.6- 515.6봉(깃대봉) -3.1- 오정자재 ▲ 천치재. 어제 천치재-치재산-용추봉 산행 도중 가마골로 중간탈출하였기에, 순창에서 하루밤을 보내고 오늘 시내버스 접근이 가능한 천치재에서 다시 산행을 시작한다. ▲ 천치재 비닐하우스 농장을 지나 잠시 오르면 ▲ 치재산 가는 길. 능선상 조그마한 과수원 농가, 임도를 만나고 ▲ 임도를 잠시 따르다 보면, 가파른 벌목지 490봉을 만난다. 이 곳에서 임도를 버리고 벌목지 봉우리를 올라야 한다. 임도를 계속 따르면 정맥 능선길과 헤어져 구불구불 치재산 근처에서 다시 만나..

호남정맥 8구간 ◯ 일시 : 2021. 03. 24(수) ~ 03. 25(목) ◯ 종주 거리 ▷ 종주 구간(GPS거리) 21.0㎞ : 밀재 –2.3- 추월산 –1.7- 수리봉 –1.4- 깃대봉 –1.0- 가인연수관 –1.1- 북추월산 –1.7- 산신산 –0.8- 천치재 –2.5- 치재산서봉 –1.4- 치재산 –2.4- 용추봉 –1.6- 515.6봉(깃대봉) -3.1- 오정자재 ▷ 접속 구간 : 없음 ◯ 소요 시간 : 9시간 40분 ▷ 3. 24(수) : 밀재 – 천치재 10㎞, 4시간 40분 ▷ 3. 25(목) : 천치재 – 오정자재 11㎞, 5시간 ◯ 날씨 : 맑음 ◯ 회차 : 30회차, 31회차 ▲ 밀재 오랜만에 호남정맥 보충산행에 나선다. 오늘 산행 계획은 오정자재까지 였지만, 그동안 종주산행을 하..
▲ 도장봉 정상 역시 조망은 트이지 않는다. ▲ 잠시 분덕재를 향해 내리막. ▲ 잡목에 묻혀 있는 이 곳이 분덕재인 듯, ▲ 이어서 급하게 무명봉을 하나 넘고, ▲ 다시 급하게 안부로 떨어지고, ▲ 무명고개로 내려 섰다가, ▲ 생화산을 향한 본격적인 급경사 오름길, ▲ 생화산을 오르다 뒤돌아 서서, 오늘 걸었던 능선을 되짚어 본다. 바로 앞이 도장봉, 저멀리 대각산, 그 뒤로 내장산 능선들이 저 만큼 멀어져 있다. ▲ 생화산 갈림길. 이 곳에서 생화산 정상까지 올랐다 되돌아 와야 하는데, 아무 생각없이 우측으로 방향을 틀고, ▲ 생화산 정상 옛사진을 다른 블러그에서 퍼왔다. 역시나 조망은 없다고 한다. ▲ 급경사 미끄러운 내리막 길, 향목탕재로, ▲ 대나무숲..
호남정맥 7구간 ◯ 일시 : 2019. 12. 14 (토) ◯ 종주 거리 ▷ 종주 구간(GPS거리) 13.8㎞ : 곡두재 –1.4- 441봉 –1.0- 감상굴재 –1.4- 대각산 –1.0- 칠립고개 –0.7- 강두고개 –2.0- 어은동고개 –0.8- 도장봉 –0.5- 분덕재 –1.0- 생화산 갈림길 –1.0- 향목탕재 –1.4- 444.5봉(병풍지맥 갈림봉) –0.8- 522봉(암봉) -0.8- 밀재 ▷ 접속 구간 : 없음 ◯ 소요 시간 : 5시간 30분 (휴식시간 포함) ◯ 날씨 : 맑음 ◯ 회차 : 29회차 ▲ 곡두재. 승용차를 밀재 부근 용지마을에 주차하고, 군내버스로 곡두재에서 가까운 봉덕리에 하차, 곡두재로 이동한다. ▲ 연속 3일 산행으로 피로가 덜 풀린 탓인지 발걸음이 무겁기만 하지만, 구간..
▲ 715번 도로가 지나는 소리개재. 낮은 구릉지대라서 묘지가 계속 이어지고, ▲ 묘지와 밭둑을 따라서, 전기 철조망이 이리저리 처져 있다. 멧돼지, 고라니가 주범인듯, ▲ 멧돼지 포획틀도 설치되어 있고, ▲ 멧돼지 포획틀 옆으로 복분자 가시덤불이 10여미터 이어진다. 도저히 뚫고 나갈 수 없어, 되돌아 나와 우회를 하고, ▲ 야트막한 무명봉을 하나 넘으며 방성골 마을로, ▲ 동네 뒷동산을 빙돌면서 내려 가면, ▲ 방성골 마을 축사옆을 지나고, ▲ 능선을 따라 계속 직진. ▲ 물탱크 옆을 지나 산길로 들어 서게 되고, ▲ 숲속으로 들어 가기전, 방성골 마을과 성옥산, 그 뒤로 묵방산을 조망해 보고, ▲ 왕자산 오르는 길이 만만치 않다. 나무들이 쓰러져 있고 ..
호남정맥 4구간 ◯ 일시 : 2019. 12. 13 (금) ◯ 종주 거리 ▷ 종주 구간(GPS거리) 17.8㎞ : 운암삼거리 –1.1- 모악지맥분기점 –1.7- 묵방산 –1.2- 배남재 –1.2- 가는정이삼거리 –3.2- 성옥산 –1.0- 소리개재 –1.1- 방성골마을 –2.3- 왕자산 –1.8- 장치 –3.2- 구절재 ▷ 접속 구간 : 없음 ◯ 소요 시간 : 8시간 (휴식시간 포함) ◯ 날씨 : 맑음 ◯ 회차 : 28회차 ▲ 운암삼거리 승용차를 주유소옆 공터에 주차하고, 어제 3구간에 이어 오늘 4구간 운암삼거리-구절재 구간 종주를 시작한다. 어부집 바로옆 능선으로 치고 오르지 않고, 선답자들이 알려준대로 도로를 따르다 나오는 임도로 편하게 오른다. 임도가 끝나는 절개지 좌측으로 들머리 리본이 걸려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