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뮤어트레일 종주 12일차 (사우스포크킹스리버 - 우드크릭 18.8㎞)
존뮤어트레일(John Muir Trail) 구간 종주 12일차
(사우스포크킹스리버부터 우드크릭까지 18.8㎞)
◯ 종주 일자 : 2019. 8. 28(수) 12일차
◯ 종주 거리 : 18.8㎞ (11.7마일)
◯ 종주 경로
▷ 사우스포크킹스리버 - 타부스패스 갈림길 - 마조리레익 - 핀초트패스(3,697m) - 소밀패스 갈림길 - 우드크릭갈림길 야영장
< 지도 출처: www.BlackwoodsPress.com>
▲ 지도 경로 및 고도표. 어제는 매더패스, 오늘은 핀쵸트패스, 내일은 글렌패스, 하루에 하나씩 패스를 넘는다. 당연히 오름길은 거칠고 힘들지만 패스를 넘으면 부담이 덜한 내리막 길이 기다리고 있다. 우드크릭트레일 갈림길까지 18.8㎞ (11.7마일)을 걸었다.
▲ 사우스포크킹스리버 야영장. 누룽지탕으로 간단히 아침을 먹고 출발 준비
▲ 핀초트패스까지 약 7㎞ 정도 계속 오름길이다
▲ 지그재그 오름길에서 잠시 숨고르기를 하며 뒤돌아 보니 어제 넘어왔던 매더패스가 보인다. 줌으로 당겨 보고
▲ 지그재그 급경사를 통과하자 타부스패스 갈림길이 나타나고
▲ 이어서 관리사무소 입구도 지나고
▲ 벤치레익 갈림길도 지나고
▲ 뒤돌아 매더패스쪽을 또 잡아 보고
▲ 계속 오름길. 마조리레익에서 내려오는 계곡물도 건넌다
▲ 호수 오르기 직전 오름길. 전형적인 암반지대이다
▲ 마조리레익 도착
▲ 마조리레익 주변 암봉들
▲ 바위투성이 오름길
▲ 호수가 연달아 나타나고
▲ 미국인 종주자들은 금새 나타났다가 앞지르기 한후 금새 시야에서 사라진다. 쉬지도 않고 성큼성큼 가벼운 배낭때문인가
▲ 핀초트패스 오르기 직전 이름모를 호수가 또 나타나고
▲ 두 미국 젊은이들이 또 앞지르기후 금새 사라지고 이들은 고산병 증세도 없나 보다
▲ 실개천 옆길로 오르고 물이 내려 온다는 것은 또 호수가 있다는 증거
▲ 바위투성이 지그재그 길을 오르고 올라
▲ 핀초트패스(3,697m). 드디어 핀초트패스 정상에 선다
▲ 지금까지 걸어왔던 마조리 호수쪽 골짜기 전경
▲ 패스 정상 주변은 온통 바위덩어리로 이루어진 거칠은 암봉들뿐
▲ 패스 너머 새로운 세상을 살펴보고
▲ 핀쵸트패스(3,697m). 패스 정상에서 인기 만점이었던 꽃다운 청춘 두분
▲ 패스 출발. 지그재그 급경사 길로 하산 시작
▲ 분지 형태의 초원지대를 통과. 존뮤어트레일 남쪽으로 내려 갈수록 나무가 적어지고 황야가 나타난다고 하더니 서서히 황야지대로 진입하고 있는듯
▲ 주변 암봉들이 남향이라 눈이 거의 녹은 탓인지 초원지대 물수량도 적은 편이고
▲ 좌측으로 계곡을 끼고 계속 내리막
▲ 나무가 드문드문 바위지대를 통과하자
▲ 좌측으로 호수를 끼고 큰 나무들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 주변 암봉군들을 둘러 보면서 내려오다 보니
▲ 소밀패스 갈림길 도착
▲ 친절한 두분으로 부터 길 안내도 받고
▲ 우드크릭 갈림길 가는 길. 야영장 쉼터 계곡에서 정수도 하며 잠시 휴식
▲ 계곡물 주변 야생화도 한번 담아본다
▲ 계곡을 따라서 계속 내리막
▲ 야영장도 지나고
▲ 우측 암봉에서 흘러내리는 계곡물도 건너고
▲ 우드크릭 본류와 같이 골짜기를 따라서
▲ 계곡 본류 폭포도 지나고
▲ 우드크릭갈림길에 도착. 모처럼 거리표시가 되어 있는 이정표도 만난다
▲ 우드크릭 출렁다리를 건너서
▲ 우드크릭 갈림길 야영장 도착하여 하루밤을 보내게 된다. 우트크릭 야영장은 꽤 큰편으로 많은 야영객들이 이미 자리를 잡고 텐트를 치며 야영준비를 하고 있다. 또한 우드크릭 계곡물 수량도 풍부하여 해가 질 무렵임에도 수영을 하는 야영객도 있다. 해가 지고 있이기에 서둘러 텐트를 치고 하루를 마무리한다.